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도메인 주도 개발
- notification
- 성능
- gcm 푸시 번역
- 푸시
- JPA
- 디자인패턴
- ddd
- 웹사이트 성능
- APNS
- kafka
- 웹사이트성능
- 자바스크립트
- GCM
- nginx설정
- nginx설치
- nginx
- git
- graphql
- 카프카 트랜잭션
- 웹사이트최적화기법
- php
- 푸시 번역
- 카프카
- GCM 번역
- Design Pattern
- Java
- 페이스북 번역
- Push
- Today
- Total
목록하루 벌어 하루 살아요 (157)
간단한 개발관련 내용
Bridge Pattern 디자인 패턴 카탈로그에는... - 구현부의 추상층을 분리하여 각자 독립적으로 변형할 수 있게 하는 패턴입니다. 디자인 패턴 영역 - 구조 및 객체 패턴. 디자인 패턴 관계도 - X. 의도 - 구현에서 추상을 분리하여, 이들을 독립적으로 다양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합니다. * 구현 뿐만 아니라 추상화된 부분까지 변경시켜야 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동기 - 상속대신 추상클래스를 사용하더라도, 추상적 개념을 구현과 분리해서 재사용,수정,확장하기 어려움이 있다. 추상적 개념을 구체적인 구현에 종속적일 필요 없이 생성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책의 윈도우 컨셉?과 플랫폼이라 표현하고 싶다.) 활용 - 클라이언트가 구현을 모르더라도 구현에 대해 여러 가지 형태를 추상적으로 사용가능하게 한다...
학교 다닐 때 다른 블로그에 등록했던 글 복사 ㅎㅎ - http://blog.naver.com/7dbwnckd/50012727041 널 문자 (='\0')와 널 포인터 (= NULL = (void*)0) 그리고 false 는 사실상 0x00 이라는 같은 값을 가집니다. 하지만 의미상 확연한 차이가 있기 때문에, 다르게 쓰입니다. # 널 문자 널 문자는 보통, 문자열의 끝을 알리는데 쓰입니다. char *str = "abcd"; -> [ 'a' | 'b' | 'c' | 'd' | '\0' ] # 널 포인터 포인터 변수 초기화나 포인터 파라미터 전달 시에 주로 쓰입니다. // 포인터 변수 초기화 char *pstr = NULL; // 포인터 파라미터 전달 time_t time(time_t *); // tim..
학교 다닐 때 다른 블로그에 등록했던 글 복사 ㅎㅎ - http://blog.naver.com/7dbwnckd/50013168713 standard input으로 쓰이는 scanf .. 이해를 바로 합시다.. 간단한 예를 하나 들어보죠... 바로 아래의 예를 실행시켜 보면... char를 입력하지 못하고 바로 넘어갑니다. void exScanf() { int a; char ch; printf("enter a number : "); scanf("%d", &a); printf("enter a charac : "); scanf("%c", &ch); printf("a: %d , ch: %c \n", a, ch); } 왜냐하면... 첫 번째 입력후 엔터키를 입력하게 되는데요~그 엔터기가 그 다음 scanf의 문자..
예전 블로그 복사 - http://blog.daum.net/7dbwnckd/1616504 서버 설정이 잘 되어진다면 다른 설정은 필요가 없어진다. sql 부르는 쿼리태그만 필요할 뿐. ^^;; select host,db from db 아... 5.5 버전에서 주의할 점이 있다. http://java.sun.com/jstl/core /WEB-INF/tlds/c-rt.tld 바로~ c.tld 같이 -rt가 아닌 것들은 쓰면 에러남 ㅡㅡ;; jstl버전인갑다.~ 즐하삼~
예전 블로그 복사 - http://blog.daum.net/7dbwnckd/4696550 GC(Garbage Colloection)는 언제 발생할까?1. GC의 원리 - 메로리 할당 - 사용 중인 메모리 인식 - 사용하지 않는 메모리 인식 - JVM의 메모리는 크게 클래스 영역, 자바 스택, 힙, 네이티브 메소드 스택 4개 영역으로 나뉘지만, 가비지 컬렉터가 인식하고 할당하는 자바의 메모리 역역에 대해 공부하자!!(힙) Young, Old, Perm(permanent)의 세 영역으로 나누어지는데, Young 영역은 Eden, Survivor1, Survivor2 Old 영역은 메모리영역 * 일단 메모리에 객체가 생성되면, Eden영역에 객체가 지정된다. Eden영역에 데이터가 어느 정도 쌓이면, 이영역에..
오픈 소스 자바 프로젝트를 응용한 웹 어플리케이션개발-마크 이글(Mark Eagle)04/07/2004 자바로 어느 정도 규모의 웹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일은 보통 일이 아니다.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될 아키텍처를 만드는 데에는 무수히 많은 고려할 사항이 있기 때문이다. 높은 레벨에서 살펴보면 개발자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어떻게 제작할 것인지, 비즈니스 로직은 어디쯤에 위치할 것인지,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어떻게 퍼시스턴스 상태로(물리적 저장 공간에 저장하는 것) 유지할것인지에 대한 결정에 직면하게 된다. 이 각각의 계층들은 그 각자의 계층들만으로도 해결되어야 할 문제들을 가지고 있다. 그것들을 질문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각각의 계층을 연결하는 데 있어 어떤 기술이 사용될 것인가? 변화에 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