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페이스북 번역
- Push
- kafka
- gcm 푸시 번역
- 웹사이트성능
- git
- nginx설정
- graphql
- 웹사이트 성능
- nginx
- JPA
- 푸시
- 카프카
- notification
- Java
- 푸시 번역
- GCM
- Design Pattern
- 성능
- GCM 번역
- 자바스크립트
- APNS
- 도메인 주도 개발
- nginx설치
- php
- 카프카 트랜잭션
- 웹사이트최적화기법
- 디자인패턴
- ddd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57)
간단한 개발관련 내용
Google Cloud Messaging: Overviewhttps://developers.google.com/cloud-messaging/gcm GCM은 개발자로하여금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메시지를 보낼 수 있게 해주는 무료서비스입니다. GCM은 서버에서 앱으로 메시지들을 다운스트림을 할 수 있고 앱에서 서버로 업스트림도 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하나의 가벼운 다운스트림 메시지는 클라이언트 앱에 통지할 수 있고 새로운 데이터는 서버로부터 가져갈 수 있게 됩니다, 새로운 이메일 알림처럼 말이죠. 즉각적인 메시지처리와 같은 경우에, GCM 메시지는 앱으로 4kb 까지 전달할 수 있습니다. GCM서비스는 메시지들을 큐로 처리하는 모든 것을 다룰 수 있고 클라이언트 앱으로 전달하거나 받을 수 있습니다..
About Local and Remote NotificationsLocal 알림과 remote 알림은 유저알림이라 불리는 두 종류인데, broadcast 알림과 구별되고(NSNotificationCenter class에 의해 관리되는) key-value 의 observing 알림입니다. 사용자 알림은 앱이 실행하지 않을 때 foreground로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들이 정보를 알게 합니다. 정보는 하나의 메시지로 되어 있는데, 예를들어 곧 있을 달력 이벤트, 또는 원격서버의 새로운데이터 입니다. local 알림 이던 remote 알림이던지 유저알림은 운영체제(iOS)에 의해서 표현되어지는데 똑같이 보고 소리낼 수 있습니다. 알림은 alert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app icon 에 배지를 달 수 있습니다...
error: pathspec 'BRANCH-NAME' did not match any file(s) known to git.git remote update git fetch git checkout --track origin/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5989592/git-cannot-checkout-branch-error-pathspec-did-not-match-any-files-kn
1. 정의.의도 - 객체 사이에 일 대 다의 의존 관계를 정의해 두어, 어떤 객체의 상태가 변할 때 그 객체에 의존성을 가진 다른 객체들이 그 변화를 통지받고 자동으로 갱신될 수 있게 만듭니다. 위키피디아 - 옵서버 패턴(observer pattern)은 객체의 상태 변화를 관찰하는 관찰자들, 즉 옵저버들의 목록을 객체에 등록하여 상태 변화가 있을 때마다 메서드 등을 통해 객체가 직접 목록의 각 옵저버에게 통지하도록 하는 디자인 패턴이다. 주로 분산 이벤트 핸들링 시스템을 구현하는 데 사용된다. 발행/구독 모델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해드퍼스트 - 옵저버 패턴에서는 한 객체의 상태가 바뀌면 그 객체에 의존하는 다른 객체들한테 연락이 가고 자동으로 내용이 갱신되는 방식으로 일대다(one to many) 의..
1. 정의. 의도 - 객체의 내부 상태에 따라 스스로 행동을 변경할 수 있게 허가하는 패턴으로, 이렇게 하면 객체는 마치 자신의 클래스를 바꾸는 것처럼 보입니다. 위키피디아 - The state pattern, which closely resembles Strategy Pattern, is a behavioral software design pattern, also known as the objects for states pattern. This pattern is used in computer programming to encapsulate varying behavior for the same object based on its internal state. This can be a cleaner way..
Decorator Pattern 디자인 카탈로그에는 ... - 주어진 상황 및 용도에 따라 어떤 객체에 책임을 덧붙이는 패턴으로, 기능 확장이 필요할 때 서브클래싱 대신 쓸 수 있는 유연한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디자인 패턴 영역 - 구조 및 객체 패턴. 디자인 패턴 관계도 - (composite -> adding responsibilities to objects) 의도 - 객체에 동적으로 새로운 책임을 추가할 수 있게 합니다. 기능을 추가하려면, 서브클래스를 생성하는 것보다 융통성 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 데코레이터 패턴에서는 객체에 추가적인 요건을 동적으로 첨가한다. 데코레이터는 서브클래스를 만드는 것을 통해서 기능을 유연하게 확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상속을 이용해 타입을 맞춘다.) 동..